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아이폰 최고급 모델의 가격이 최대 333만원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다.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은 분석가들의 예상을 인용해, 애플이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아이폰 가격이 현재보다 30~40%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아이폰 가격 상승 요인
- 중국 생산 의존도: 애플은 아이폰 생산의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는데, 이는 기존의 20% 관세에 더해 총 54%의 관세가 부과되는 것을 의미한다.
- 관세 비용 전가: 로젠블래트 증권은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계를 토대로 애플이 관세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경우, 최대 43%의 가격 인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 상위 모델 가격: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경우, 소비자 가격이 1,599달러에서 43% 상승하여 2,300달러(약 333만원)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보급형인 아이폰 16e 역시 599달러에서 856달러로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내에서만 적용되는 가격 인상
상호관세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것이므로, 인상된 가격은 원칙적으로 미국 내에서만 적용된다.
애플의 대응 가능성 및 전망
- 가격 인상 주저: 현재 아이폰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가격 인상은 판매 둔화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수요 정체와 관세로 인한 비용 상승은 애플의 수익성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다.
- 점진적 가격 인상: CFRA 리서치의 주식 애널리스트 안젤로 지노는 애플이 소비자에게 5~10% 이상 가격을 전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아이폰 17 출시 예정인 올 가을까지는 주요 가격 인상을 보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 수익성 악화: 가격 인상폭이 적을 경우,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소비자 심리가 불안정한 시기에 관세 상쇄를 위한 가격 인상이 어려워 마진 압박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
로이터 통신은 아이폰 가격이 급등하면 스마트폰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보다 낮은 관세가 부과된 삼성전자가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의 파급 효과
- 무역 전쟁 심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과 무역 상대국 간의 무역 전쟁을 심화시키고,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할 수 있다.
- 소비자 부담 증가: 관세는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
-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관세로 인한 무역 긴장과 불확실성은 글로벌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한국 경제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수출 감소: 미국은 한국의 주요 수출 시장으로, 관세 부과 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 무역수지 악화: 대미 수출 감소는 전체 무역수지 악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률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 대응 전략 필요: 한국 정부와 기업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를 최소화하고, 수출 시장 다변화, 기술 경쟁력 강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반응형